
브레드보드, 다른 말로 빵판이라고 하는 전자 회로 테스트 도구입니다.
전자 회로 개발, 연구, 학습 시 납땜을 하지 않고 와이어링만으로 전자 회로를 구성, 동작 테스터, 및 계측 등을 하기 위한 보조 도구입니다.
내구 구조 또한 아주 간단하여 천공 아래에는 많은 납이 도금된 인청동 스프링 클립이 있고 천공이 있는 플라스틱 블록으로 구성됩니다.
천공홀에 저항, LED, 트랜지스터, IC, 콘덴서, 점퍼선 등등의 기타 전자 부품을 삽입 연결하여 전자 회로의 테스트를 간단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
브레드보드는 1960대 회로를 만든던 wire-wrap(절연기판에 부품을 장착하고 부품 단자를 절연전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때 사용하던 절연기판이 브레드보드(빵을 자르던 나무 도마)라서 현재에도 브레드보드라고 합니다.

브레드보드의 구조는 아주 간단합니다 아래의 사진처럼 5개의 천공홀은 하나의 스프링 클립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서로 스프링 클립으로 연결되어 있는 5개의 홀에 각각의 전자부품 단자를 꼽으면 서로가 납땜을 한 것처럼 연결이 되는 구조입니다. 회로 구성시 서로가 연결된 홀만 잘 파악한다면 아주 편리하게 회로를 테스트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의 브레드보드는 위의 브레드보다 보다 많이 큰 보드이고 위아래에 +, - 표시가 추가되어 있는데요. 위의 보드와 다른 점은 가운데 보라색 연결은 위의 보드와 같지만 +, - 표시가 있는 곳은 붉은색 파란색 선 연결처럼 하나로 다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 다릅니다.
보드에서 사용하는 전원 관리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추가된 부분이고 +에는 vcc 전원을, -에는 전원의 GND를 연결하시면 됩니다.

아래 아주 간단한 LED를 ON 하는 회로를 TinkeCad를 이용해서 표현해 보았습니다.

위의 그림만으로는 이해하시기 힘드시죠..

이번에는 연두색으로 숨어있는 브레드보드의 클립의 연결 상태를 표시해보았습니다. 이제 회로의 연결 상태를 이해하시죠...
납땜을 하지 않아서 회로 테스트하기에는 편하지만 클립의 연결 상태를 이해 하기까지는 조금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위 그림은 브레드보드상에 전자부품을 장착할 때 실수로 잘못 장착한 사진입니다. 부품의 단자들이 내부적으로 클립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쇼트, 합선)라 부품들이 본연의 역할을 못합니다. 그럼 각소자들의 올바른 장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위의 방식처럼 각각의 부품 단자가 같은 클립으로 연결되지 않아서 의도치 않은 연결이 없게 브레드 보드에 부품을 장착해줘야 합니다.
간단한 전자회로라도 잘못된 연결에 의한 쇼트 발생으로 스타크 혹은 부품의 파손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결 시 조금만 신경 써서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전자 부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세그먼트(7 Segment) (0) | 2022.04.04 |
---|---|
IC 74HC595 (Shift Registor) (0) | 2022.03.30 |